- 질문
- 언론 기사를 보면 자율주행 레벨3 또는 레벨4라는 표현이 나옵니다. 그 레벨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?
- 답변
- 간단 정리 (각 레벨간의 차이가 모호한 부분도 있지만 대략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구분 가능함)
-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레벨 2의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 (테슬라의 오토파일럿도 레벨2에 해당함)
- 레벨3부터는 특정 조건에서만이라도 차량이 스스로 판단 & 제어할 수 있음 (운전자가 잠을 자도 됨) (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은 운전자가 항상 전방을 주시하고 있어야 함)
- 레벨2와 레벨3의 구분 방법: 운전자가 항상 전방을 주시해야 할 의무가 있으면 레벨2임
- 레벨4부터는 대부분의 도로에서 차량이 스스로 판단 & 제어함
- 레벨3과 레벨4의 구분 방법: 시스템이 스스로 판단 & 제어하는 도로의 범위에 따라 구분됨.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일정 속도 이하에서만 자율주행이 가능하다면 레벨3에 해당함
- 레벨5부터는 모든 도로에서 차량이 스스로 판단 & 제어함. 운전자가 불필요함
- 현재의 기술 수준
- 일반인에게 판매되고 있는 차량 기준
- 현재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레벨 2의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 (테슬라의 오토파일럿도 레벨2에 해당함)
- 독일에서는 레벨3 자동차도 판매되고 있다고 언론에 나왔음 (22년 5월 기사: "메르세데스 벤츠의 레벨 3 자율주행 옵션, 독일서 첫 적용")
- 한국에서는 22년 말에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 차량에 레벨3 기능이 들어가는 것으로 언론에 나왔음 (22년 9월 기사: "현대차, 국내최초 레벨3 자율주행차 출시 전망... 4분기 제네시스 신형 대상")
- 파일럿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는 차량 기준 (판매되는 차량은 아님)
- 레벨4가 적용된 차량으로 택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(시범운행 또는 상용화)
- 한국: 현대기아차 '로보라이드' (22년 6월 강남지역에서 시범운행함)
- 미국: 구글 웨이모, GM 등이 무인 로봇 택시를 운영함 (속도 제한이 있고, 특정 지역에서만 주행 가능함)
- 레벨4가 적용된 차량으로 택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(시범운행 또는 상용화)
- 각 대학, 회사의 연구
- 2004년: 미국 다르파 그랜드 챌린지 (운전자 없는 차량이 사막을 횡단)
- 운전자 없는 차량이 사막을 횡단 했지만, 특정 지역에서만 동작 가능했기 때문에 레벨 4에 해당함
- 2004년: 미국 다르파 그랜드 챌린지 (운전자 없는 차량이 사막을 횡단)
- 일반인에게 판매되고 있는 차량 기준
- 추가 설명
- 처음에는 미국 연방도로교통안전청 (NHTSA)에서 총 5단계 (0~4)로 구분을 했음. 이후 미국 자동차공학회 (SAE)에서 총 6단계 (0~5)의 구분 방법을 제안했고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음
- 레벨 0
- 후방 장애물 알림 등의 기본적인 경고 기능조차 없는 시스템
- 현재 판매되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운전자 보조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지금은 레벨 0의 자동차는 없다고 봐도 됨. 차량에 있는 운전자 보조 센서가 모두 고장이 나면 레벨 0의 자동차가 됨
- 레벨 1
- 후방 장애물 알림, 차선 이탈 경고음 등 운전자에게 '알림'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. '경고'만 제공할 뿐, 시스템이 차량을 제어할 수는 없음
- 현재 판매되는 대부분의 차량에는 옵션을 넣지 않아도 레벨1 수준의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
- 레벨 2
- 단순한 알림 기능이 아닌 제어 기능까지 추가된 시스템 (ex. 차선 유지 기능, 전방 차량과의 거리 유지 기능 등)
- 22년 10월 기준. 대부분의 현대기아차에는 레벨 2의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되어 있음 (차량을 구입할 때 옵션으로 선택)
-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역시 레벨 2에 해당함
- 레벨 3
- 고속도로와 같은 특정 조건의 구간에서 시스템이 주행을 담당하며 위험시에만 운전자가 개입함
- 현대기아차에서 22년 말에 출시되는 제네시스 차량에 탑재되는 것으로 언론에 홍보됨
- 독일, 미국에서 판매되는 고급 차량에 레벨 3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 언론에 홍보됨 (22년 5월 기사)
- 레벨 4
- 대부분의 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시스템
- 특정 상황 (ex. 악천후)에서는 운전자가 필요함
- 레벨 5
- 모든 도로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시스템
- 운전자가 없어도 됨
- 참고 사이트
- 간단 정리 (각 레벨간의 차이가 모호한 부분도 있지만 대략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구분 가능함)
자율주행 레벨별 차이? 쉽게 정리했어요EVPOST
크게 보기 자율주행 레벨에 따른 차이는? 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을 경험한 후 자율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부쩍 상승했습니다. 미국 자동차 공학회 SAE(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)에서 정의하고, 사실
www.evpost.co.kr
'자율주행관련 문답식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006. 자율주행 센서로 언급되는 4D 이미징 레이더란? (3) | 2023.07.19 |
---|---|
0005. 테슬라의 스마트 호출 (smart summon) 기능은 유용한가? (5) | 2023.07.19 |
0004. 현대기아차의 RSPA & RSPA2 옵션의 차이는? (0) | 2023.07.18 |
0003. 아우디와 폭스바겐의 ADAS기술 차이는? (2) | 2022.11.05 |
0002. 테슬라 오토파일럿 vs FSD 차이점은? (2) | 2022.10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