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- 질문
- 테슬라의 오토파일럿과 FS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- 답변
- 아래 링크로 연결해 놓은 '나무 위키'에 아주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. 여기에는 그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봤습니다.
- 오토파일럿 (Autopilot)
- 2019년 3월 이후에는 모든 테슬라 차량에 기본으로 포함된 기능
- 운전자가 설정한 최대 속도로 주행하면서 전방 차량과 가까워 지면 속도를 줄이거나 정차하는 기능
- 현재 차선을 유지하면서 주행하는 기능
- 2019년 3월 이후에는 모든 테슬라 차량에 기본으로 포함된 기능
- 향상된 오토파일럿 (Enhanced Autopilot)
- 추가 구매를 통해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 (일시불: 6,000 달러, 한화: 452만원 (미국보다 저렴함))
- 네비게이션 기반 고속도로에서의 자율주행 (NOA(Navigate On Autopilot)라고 부름)
- 목적지를 고려해서 고속도로 IC / JC 진입 전에 자동 차선 변경 (운전자에게 승인을 요청)
- IC / JC에서는 운전자 승인 없이 자동으로 차선 변경
- 저속 차량 추월 기능 (차선 변경시 운전자에게 승인을 요청)
- 운전자가 차선 변경 신호를 주었을 때 차동으로 차선 변경을 하는 기능 (모든 도로에서 동작)
- 자동 주차 (평행 주차, 직각 주차)
- 주차 상태에서 테슬라 앱을 통한 무인 전진, 후진 기능 (Summon)
- 옥외 주차장에서 차량 소유자가 테슬라 앱을 통해 지정한 위치까지 무인 자율 저속 주행 (Smart Summon)
- 네비게이션 기반 고속도로에서의 자율주행 (NOA(Navigate On Autopilot)라고 부름)
- 추가 구매를 통해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 (일시불: 6,000 달러, 한화: 452만원 (미국보다 저렴함))
- FSD (Full Self Driving) (베타버전: 레벨5가 가능한 구조이지만 실제는 레벨2인 기능)
- 추가 구매를 통해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 (일시불: 15,000 달러, 월정액: 199달러, 한화: 904만원 (미국보다 저렴함)) (향상된 오토파일럿을 이미 구매한 경우, 차액만 지불하면 됨)
- 향상된 오토파일럿 기능에 시내 자율 주행 기능이 추가된 옵션임 (베타버전에 해당함. 일부 국가 & 일부 사용자만 사용 가능한 기능)
- 한국에서는 FSD 기능이 향상된 오토파일럿과 거의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FSD의 가격이 계속 오를 것을 고려해서 미리 구매하는 사용자도 있음
- 미국에서는 22년 8월에 옵션가가 12,000달러에서 15,000달러로 인상됨
- 이름은 'Full Self Driving'이지만 아직 베타버전에 해당하고, 레벨 5가 가능한 구조이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운전자의 전방 주시 의무가 있는 레벨 2에 해당함
- 추가 구매를 통해 포함시킬 수 있는 기능 (일시불: 15,000 달러, 월정액: 199달러, 한화: 904만원 (미국보다 저렴함)) (향상된 오토파일럿을 이미 구매한 경우, 차액만 지불하면 됨)
- 나무 위키 링크
테슬라 오토파일럿 - 나무위키
2019년 3월 이후부터는 테슬라 자동차에는 다음의 ADAS 기능이 추가 비용없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다. [7] 교통 인식 크루즈 컨트롤(Traffic Aware Cruise Control)지정된 최고 속도로 운행하며 앞차와 간
namu.wiki
'자율주행관련 문답식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006. 자율주행 센서로 언급되는 4D 이미징 레이더란? (3) | 2023.07.19 |
---|---|
0005. 테슬라의 스마트 호출 (smart summon) 기능은 유용한가? (5) | 2023.07.19 |
0004. 현대기아차의 RSPA & RSPA2 옵션의 차이는? (0) | 2023.07.18 |
0003. 아우디와 폭스바겐의 ADAS기술 차이는? (2) | 2022.11.05 |
0001. 자율주행 레벨 3 ? 레벨 4 ? (2) | 2022.10.03 |